본문 바로가기
공부/Javascript + jQuery

자바스크립트 05. switch와 삼항연산식

by 취미취미 2022. 1. 5.
반응형
let menu = 1


if(menu == 1){
	console.log("물건사기")
} else if (menu ==2){
	console.log("잔고확인")
} else if (menu == 3){
	console.log("히스토리 확인")
}else {
	console.log("홈으로 돌아가기")
}

// 위의 if문을 switch로 바꾸면

switch(menu){
	case 1: 
    	console.log("물건사기")
    	breack;
   	case 2:
    	console.log("잔고확인")
        break;
    case 3:
    	console.log("히스토리 확인")
        break
    default:
      console.log("홈으로 돌아가기")
      break;
}

조건이 겹치는 경우엔 합쳐서 써주면 된다.

switch(변수) {
	case 1:
    case 2:
    	console.log("1,2번 케이스")
    case 3:
    	console.log("3번 케이스")
    default:
    	console.log("마지막 케이스")
}

스위치문의 단점은 딱 떨어지는 정수값만 사용 가능하다.

(2.1, 2.2등 소수점으로 나뉘는 값은 모두 적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함.)

따라서 if~else 문법을 더 많이쓰는 경향이 있다.

 


삼항연산식

 

단순한 else if문의 경우 한줄로 표기 가능함.

let num = 8

if( num <=3){
	console.log("범위 안에 숫자입니다")
} else {
	console.log("범위 밖의 숫자입니다.")
}

// 이런 단순한 if else의 경우

// let 변수1 = 변수0 <= 조건 ? true : false

let answer = num <= 3 ? "범위 안에 숫자입니다." : "범위 밖의 숫자입니다."
console.log(answer)

 

댓글